본문 바로가기
Study (공부 & 정리)/Backend

[#2][AWS 배포 시리즈 4편] 도메인 구매 & 퍼블릭 IP 연결

by Dev.후크리 2025. 8. 13.

이번 글에서는 AWS 도메인 구매 & 퍼블릭 IP 연결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아직 고정 IP 설정 전이라면 이전 편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hooklee.tistory.com/75

 

[AWS 배포 시리즈 3편] 고정 API 설정 (Elastic IP)

이번 글에서는 AWS 고정 API 설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아직 보안 그룹 설정 정이라면 이전 편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https://hooklee.tistory.com/74 [AWS 배포 시리즈 2편] 보안 포트 설정 가이드이번

hooklee.tistory.com

 


왜 도메인을 연결해야 할까?

 

사실 고정 IP만 써도 서버 접속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숫자 주소 대신 기억하기 쉬운 문자 주소를 사용하는 게 편리하기에 도메인을 연결합니다.

 

여기서 도메인은 돈을 주고 구매해야 하는데, 단지 편리함 때문에 꼭 해야하나요? 라는 의문이 생길 것 같습니다.

편리성도 있지만 나중에 HTTPS 설정 시에 도메인이 없으면 중간 인증 절차들에서 많은 어려움이 생깁니다.

그래서 정상적인 보안 프로토콜을 따르는 웹서비스를 제작하려면 도메인 연결은 필수입니다.

 


 

도메인 구매

 

도메인 구매는 다양한 곳에서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사이트들이 있습니다.

 

 

  • 국내: 가비아, 카페24, 호스팅케이알
  • 해외: Namecheap, GoDaddy, Google Domains

 

하지만 우린 지금 AWS를 쓰고 있기에, AWS에서 도메인을 구매할 것입니다. 

그게 가장 편해서요.

 


 

 

우선 좌측 상단 검색창에서 route 53을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보입니다.

여기서 좌측에서 등록된 도메인으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이후 도메인 등록을 클릭해 줍니다.


 

 

 

여기서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검색을 누르면 사용 가능한 도메인들이 가격 별로 나열됩니다.

그중 원하는 하나를 선택하면 우측 선택된 도메인 칸에서 결제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도메인과 IP 주소 연결

 

 

이제 호스팅 영역을 클릭해 들어와 중앙에 레코드 생성을 클릭합니다.

 


 

그럼 여기서 이 값 부분에만 내 퍼블릭 IP를 입력하시고 생성하시면 됩니다.

나머지 부분은 그대로 두어도 괜찮습니다.

 

 


여기까지가 AWS에서의 배포 과정입니다.

전체 배포 과정 중 AWS에서만 다른 부분들을 가져와 설명하였기에

아직 많은 부분이 남아있습니다.

 

이젠 인스턴스도 만들었으니

인스턴스에서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