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공부 & 정리)/CS

[#2][개념 정리 #2][네트워크] API에 대한 정의, Application

by Dev.후크리 2025. 9. 6.
API는 뭐와 뭐의 통신이라고 표현해야할까?

 

이런 궁금증에 시작된 공부였다.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줄임말이다.

조금 나눠서 그 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Application: 클라이언트(앱, 웹 브라우저, 다른 서버)
  • Programming Interface: 약속된 방법(규격, 인터페이스)

즉, API =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통신 규격이다.

 

  • 클라이언트 앱 ↔ 서버
  • 예: 서버 ↔ 서버 (ex. 내 서버에서 카카오 로그인 API 호출)

 

“API는 사람 ↔ 컴퓨터가 아니라, 컴퓨터 ↔ 컴퓨터(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

 


올바른 용어 (Terminology)
  • API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두 프로그램 간 상호작용을 정의한 규격
  • Caller / Consumer (호출자/소비자): API를 사용하는 쪽 (클라이언트)
  • Provider (제공자): API를 제공하는 쪽 (서버)
  • Request/Response (요청/응답): API 통신의 기본 단위
잘못 쓰기 쉬운 표현 + 실제 맥락 (Misuse & Context)
  • ❌ “API는 JSON이다” → JSON은 포맷일 뿐, API는 그릇(약속된 통신 규격).
  • ❌ “API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만 해당한다” → 서버 ↔ 서버 통신에도 API가 적용됨.
  • 현업에서 올바른 표현:
    • “우리 서비스는 카카오 로그인 API를 호출해서 사용자 정보를 받아옵니다.”
    • “API 응답 포맷은 JSON이고, 엔드포인트는 /login입니다.”

조금 더 생각해보기

 

“API는 ( )와 ( )가 ( )하기 위해 ( )하는 것이다.”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정해놓은 통신 규격이다.